본문 바로가기
블린이!

알뜰교통카드, 광역알뜰교통카드 발급 및 이용 방법

by P대장 2023. 2. 3.

1.  알뜰교통카드, 광역알뜰교통카드란?

이왕 대중교통 이용하는 거, 돈 벌면서 타보는 것이 어떨까요? 우리는 보통 출근, 퇴근, 통학으로 적어도 매일 2번씩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어차피 이용하는 대중교통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면 좋을 것 같아 소개를 시작하겠습니다. 서울은 알뜰교통카드, 비서울은 광역알뜰교통카드로 사용됩니다(경기도에 거주 중인 지인은 광역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합니다). 사용법도 간단합니다. 타기 전에 버튼 한번 누르고, 도착해서 버튼 한번 누르면 마일리지가 적립됩니다! 구체적인 사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2. 알뜰교통카드 발급

준비물 : 현물카드, 1개월 이내 발급된 주민등록등(초)본, 본인명의 휴대번호

모든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아닙니다. 신한카드, 우리카드, 하나카드 3가지 카드사에서 제공합니다. 각 카드사의 홈페이지,  모바일 앱, 오프라인 은행에서 발급할 수 있습니다. (티머니 알뜰교통카드는 서울시의 정책 변경으로 인해 신규가입이 중단되었다고 합니다)

 

현물카드를 발급받았다면 알뜰교통카드 어플을 다운로드하고 가입 및 카드 등록을 진행하면 됩니다. 이 제도는 중앙정부와 지자체 예산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주소지 검증을 위하여 최근 발급받은 주민등록등(초)본이 꼭 필요합니다. 

 

3. 이용 방법

알뜰교통카드 이용 방법

이용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마일리지를 지급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출발하는 곳(집)에서 어플에 접속하여 출발 버튼 클릭하고 대중교통을 이용합니다.(현물카드 O, 삼성페이 X) 그리고 도착하는 곳(회사, 학교)에서 어플에 접속하여 도착 버튼 클릭하면 됩니다.

처음에는 좀 번거롭고 귀찮지만 익숙해지면 나름 재밌습니다! 이 카드 이전엔 삼성페이로 교통카드를 사용했던 저로선 깜빡 잊고 삼성페이로 결제한 적도 많습니다. 습관이 무섭습니다. 그래서 아예 삼성페이에서 티머니 기능을 삭제하였습니다. 그래도 그 불편함을 감수할 정도로 마일리지 적립은 유혹적입니다(교통비는 어차피 고정지출이기 때문입니다).

 

4. 마일리지

대중교통요금 2,000원 미만 2,000원 이상 ~ 3,000원 미만 3,000원 이상
마일리지 지급액 최대 250원 최대 350원 최대 450원

알뜰교통카드 마일리지 지급액은 위 표와 같습니다. 대중교통 이용 전, 후에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하여 마일리지를 적립한다고 하니 까먹을 것 같으면 미리 버튼을 눌러두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실제로 교통카드 태그 직전에 어플에 접속한 경험이 상당한데 앞으로는 저도 잊지 않고 미리 버튼을 눌러놔야겠습니다. 

 

5. 유의할 점

월 15회 이상 알뜰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여야 마일리지 지급 대상이 됩니다. 그리고 최대 44회까지 마일리지가 지급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